<사용자들의 마음을 한층 더 이해하다> 다양한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베가 LTE EX!
+ Category : VEGA 시리즈 + Date : 2012. 2. 22. 10:12 + Author : 스카이 베가+ URL : http://skyvega.tistory.com/65
요즘 우리의 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스마트폰입니다.
스마트폰으로 간단한 전화통화 및 문자는 물론이고
사진촬영, DMB 시청, 날씨, 뉴스, 웹서핑 등등
스마트폰이 우리 생활에 차지하는 비율은 상당히 높습니다.
출처: http://blog.naver.com/wingcoupon/80150301273
특히 핸드폰으로 동영상을 보는 것이 일상화 되어버린 생활에서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안 보시는 분들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스트리밍하거나 아예 스마트폰에 동영상을 다운받아서
편하게 들고 다니면서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많이들 보실텐데요..
그런데 시간을 공들여 동영상을 다운받았더니..
동영상이 재생이 안 되는 경우가 간혹 있으셨을겁니다.
이런 경우 인코딩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거나
재생이 되는 동영상을 찾아서 다시 다운받아야 하는 귀찮음을 겪으셨을 겁니다.
이 같은 일을 겪는 것은 코덱이라는 것 때문에 발생하게 됩니다.
여기서 코덱은 무엇일까요??
코덱이란 요약을 해서 말씀을 드리자면 음성 또는 영상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더와 그 반대로 변화시켜 주는 디코더의 기능을 함께 갖춘 기술입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드리자면..
파일의 부피를 줄여서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전송 시에 부담을 줄이기 위해 파일을 압축하고
또 그 파일의 압축을 풀 때에는 압축프로그램이 필요하듯이,
동영상 음악을 압축하고 그것을 해제하는데 필요한 것이 바로 코덱입니다.
감상자의 입장에서는 압축된 파일을 풀어서 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압축된 동영상이나 음악 파일을 풀어주는 프로그램이나 장치를 코덱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이 코덱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1992년 소개한 AVI(Audio Video Interleaved) 포맷,
동영상 편집에서 많이 사용되는 MPEG(Motion Picture Expert Group), 최근에는 고화질 동영상에
많이 쓰이는 Divx 및 Xvid, AC3, DTS 등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출처: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6983
http://www.mpeg.org/
각자 다른 코덱으로 압축한 데이터는 그에 따른 고유한 확장자를 가지는데
각각 압축과 복원에 사용되는 계산법이 다르므로 일반적으로 서로 호환되지 않으며
그 확장자에 맞는 코덱으로만 압축을 풀 수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PC에서 동영상을 즐기려면 그 동영상이 제작될 때 사용된 코덱이
해당 PC에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 것처럼 스마트폰도 역시 동영상을 재생하려면
해당 동영상의 코덱을 지원해야지만 동영상을 즐길 수 있는 것입니다.
PC는 자체적으로 코덱을 설치하면 되지만 스마트폰은 출시되어 나올 때부터
지원하는 코덱이 각각 달라 재생이 되는 영상이 있는가 하면
재생이 되지 않는 영상이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LTE 스마트폰에는 무인코딩 동영상 재생이라고 해서
동영상의 해상도와 포맷에 상관없이 어떠한 코덱이라도 동영상 포맷 및 변환 없이
그냥 재생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LTE 스마트폰이라 하더라도 각 모델별로 지원 코덱은 각기 다릅니다..
LTE 스마트폰 중 SKY가 2012년에 들어서 첫 출시한 LTE 스마트폰
VEGA LTE EX의 지원 코덱을 알아보고 직접 동영상 재생 테스트를 해 보도록 할 텐데요..
베가 LTE EX는 Divx, Xvid, AC3, DTS 등 다양한 코텍을 지원하여 별도의 변환 없이
편리하게 16:9의 고화질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고 합니다.
동영상 재생 테스트에 쓰인 코덱은 베가 LTE EX가 지원한다는 DivX, Xvid 및
필자가 랜덤으로 고른 WMV, MKV, 4가지의 코덱으로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테스트한 코덱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드리자면..
DivX는 처음 만들어졌을 때 공개된 코덱 규격이라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DVD(9,4GB)에 담긴 영화 한 편을 거의 화질 저하 없이 CD(700MB) 수준의 용량으로
저장할 수 있을 만큼 데이터 압축률이 우수해서 많은 네티즌들이 열광을 하였습니다.
그 후 DivX 코덱은 상용화되어 현재 PC 외에도 DVD 플레이어, 비디어 게임기, PMP,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기기에 탑재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5376
DivX의 상용화에 반발하여 등장한 것이 Xvid입니다. DivX의 이름을 거꾸로 배열한 ‘Xvid’는
MPEG-4 기반의 코덱이라는 점에서 DivX와 유사하지만,
오픈 소스이므로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WMV는 윈도 미디어 비디오(Windows Media Video, WMV)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미디어 포맷의 핵심을 이루는 것입니다.
MKV는 마트로스카(Matroska)가 개발한 개방형 컴퓨터 파일 포맷으로
자막을 별도 파일로 지원하는 AVI 등 기존 파일과 달리 화질 저하 없이 다양한 영상과 음성,
자막 파일을 한데 묶을 수 있는 파일 형식입니다.
자 이제 베가 LTE EX 동영상 테스트 영상을 보실까요??
베가 LTE EX에서는 지원하는 DivX, Xvid와 필자가 고른 WMV, MKV
이 4가지 코덱의 동영상들이
깔끔하게 무리없이 재생됩니다.
베가 LTE EX는 WMV, MKV 코덱도 지원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는데요..
사용자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코덱을 지원한다는 점이
눈에 돋보이는데요..
동영상 인코딩이 뭐 그리 어려운 일이냐고 하실지 모르시겠지만
대표 스마트폰인 아이폰은 코덱을 변환하는 횟수가 다른 유저들에 비해 많다고 합니다..
아이폰은 mp형식의 동영상만을 지원하고 있어 avi 또는 wma파일로된
동영상을 mp4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반드시 거쳐야 하는데요..
출처: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7351
보통 노트북으로 700MB 용량의 동영상을 mp4형식으로 변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20~30분에 달해 아이폰으로 동영상을 보려면 매번 귀찮은 동영상 인코딩 작업을
해야 합니다.
그에 비해 베가 LTE EX는 공식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DivX, Xvid 등의 4가지 코덱은
물론이고 필자가 선택한 WMV, MKV 코덱 또한 지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러 다양한 코덱을 지원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혔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또한 여간 귀찮은 것이 아닌 동영상 인코딩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었다는 점에서 베가 LTE EX가 유저들의 마음을 한 층 더 이해하고
어루만져주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즐길 수 있는 베가 LTE EX!!
베가 LTE EX로 보고 싶은 영상들을 마음껏 보시는 건 어떨까요??
'VEGA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펙 리뷰] 스펙위주로 베가lte ex 살펴보기! (0) | 2012.02.23 |
---|---|
[디스플레이 리뷰] Vega LTE, 난 노트북 해상도 스마트폰이다 (0) | 2012.02.23 |
<사용자들의 마음을 한층 더 이해하다> 다양한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베가 LTE EX! (1) | 2012.02.22 |
[기능리뷰] 스카이 베가 LTE M 리뷰, 디자인과 4G LTE 속도 체험기 (0) | 2012.02.13 |
[스펙리뷰] 베가LTE M 해상도 WXGA LCD (0) | 2012.02.13 |
[기능리뷰] 베가 LTE M 리뷰, 4.5형 IPS패널에서 즐기는 강력한 멀티미디어 성능 (0) | 2012.02.13 |
좋은정보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