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라이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Category : VEGA 시리즈 + Date : 2012. 5. 10. 16:14 + Author : 스카이 베가+ URL : http://skyvega.tistory.com/168
안녕하세요? 베가 블로그 에디터 1기 박종현입니다.
지난 2월 23일에 팬택 본사에서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클라우드 라이브 서비스를 공개했습니다. 베가 LTE EX 모델이 첫 번째 탑재 모델이 되었고 신규 출시되는 모델들과 근래에 출시된 모델들 역시 탑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클라우드 라이브하면 뭔가 이름부터 어렵게 느껴지는데 뭔저 클라우드 컴퓨팅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베가 클라우드 라이브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은 1965년 미국의 컴퓨터 학자인 존 매카시가 "컴퓨팅 환경은 공공 시설을 쓰는 것과도 같을 것"이라 개념을 제시한데서 유래합니다. 공중전화나 ATM기와 같은 공공 시설물들은 특별한 준비 없이 바로 해당 기기 앞으로 가서 즉시 사용이 가능합니다.
반면에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인프라인 컴퓨터와 인터넷 통신 환경이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OS와 소프트웨어 패키지까지 모두 구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여기까지 준비를 마쳤다고 하더라도 한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컴퓨터가 설치된 장소에 있는게 아니라면 없는것과 다를 바 없다는 점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3가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버와 네트워크, 스토리지 디스크와 같은 장비들을 가상화 환경으로 만들어 필요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로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기업체의 서비스 사용자가 늘어 장비를 증설해야 하는 경우 IaaS 제공 업체에게 용량 증가 신청만으로 증설이 완료됩니다.
- PaaS(Platform as a Service)
소프트웨어가 운용되는데 필요한 운영체제, 런타임 라이브러리, 데이터 베이스, 프레임웍을 서비스로 제공합니다. 구글이나 네이버, 다음 등에서 제공하는 OPEN API들이 PasS의 일종이며, 구글의 '앱 엔진'의 경우에는 직접 온라인 서비스를 개발에서 배포, 관리까지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SaaS(Software as a Service)
"on-demand software"로도 불리며, 소프트웨어 및 관련 데이터는 중앙에 호스팅되고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 등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접속하는 형태의 소프트웨어 전달 모델입니다.
■ 베가의 클라우드 라이브란?
베가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16GB 용량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하고 있어 기본적으로 IaaS 성격을 띄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라이브에 데이터를 업로드 하면 다른 PC나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접근 및 실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SaaS 로도 볼 수 있습니다. 위 클라우드 컴퓨팅의 내용을 읽어본 후 "클라우드 라이브란 무엇일까?"하는 궁금증에서 "클라우드 라이브는 무슨 서비스를 제공할까?"로 생각이 바뀌셨다면 제대로 감 잡으셨습니다.
■ 클라우드 라이브 살펴보기
Cloud Live를 사용하려면 Google 계정과 베가 클라우드 통합 계정이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먼저 Google 계정을 등록한 후 사용 시작을 선택하면 VEGA 서비스 아이디 로그인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이디가 없으면 VEGA 서비스 아이디를 만들기를 통해 먼저 아이디를 만들고 나서 로그인을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할 준비가 끝났습니다.
성공적으로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Cloud Live에 대한 소개를 볼 수 있습니다. 베가 LTE 모델된 FLUX UX의 흐름을 이어 받아서인지 이해하기 쉽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앞 화면이 Cloud Live가 어떤 서비스 인지 설명하고 있었다면 이번 화면에서는 손으로 적어놓은 듯한 메모 형태로 사용 방법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 정도면 매뉴얼이 따로 없어도 즉시 사용이 가능해 보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활용 단계로 넘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 사진 찍어서 클라우드로 올리기
클라우드에 올리려면 먼저 올린 사진을 찍어야 겠지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서 사진을 찍습니다. 다음 할 일은 무엇일까요? 아쉽게도 이걸로 더 이상 할 일은 없습니다.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하면 Cloud Live가 자동으로 라이브 디스크로 업로드를 수행합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3G/4G LTE 연결 상태에서 자동 업로드 기능이 켜져 있으면 데이터 사용량이 순식간에 증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설정에서 확인 가능한데 디폴트는 WiFi 일때만 업로드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 다른 기기에서 컨텐츠 사용하기
휴대 단말기에서 업로드된 컨텐츠를 PC의 웹 브라우져에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베가 라이브 웹사이트(http://cloudlive.vegalive.co.kr)에 접속하여 휴대폰에서 사용한 VEGA 서비스 아이디로 로그인할 때와 동일하게 입력하여 로그인합니다. 사진 영역을 선택하니 방금 자동으로 업로드된 이미지가 확인 됩니다. PC를 예로 들었지만 웹 브라우저만 갖춰진 기기라면 언제 어디서든 이와 동일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 연락처, 캘린더, 메모 통합 관리하기
베가 라이브 웹사이트에서는 Cloud Live PC Client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설치하면 웹과는 별개로 클라우드에 저장된 휴대 단말기의 연락처, 캘린더, 메모, 통화기록이 동기화 되고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C Client 내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클라우드와 동기화가 이루어집니다. PC Client 만의 강점이 있는데 환경설정을 살펴보면 Outlook 동기화와 자동 백업 기능이 있습니다. Outlook 동기화를 설정해 놓으면 Outlook까지 확장하여 데이터의 동기화가 이루어집니다. 예전에 휴대 단말기와 Outlook의 데이터 동기화를 설정해 본 경험이 있는 분들이라면 귀가 솔깃하셨으리라 짐작합니다.
■ 휴대폰 설정, 구매한 어플리케이션 복원하기
예전에 잠시 아이폰을 만져볼 기회가 있었는데 여러 가지로 놀라움을 느끼게 했던 기기로 기억합니다. 그 중에서 가장 인상적인 기능 중 하나가 OS를 업그레이드 해도 기존의 설정값과 데이터, 구매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그대로 남아있는 점이었습니다. 베가의 경우에는 베가 레이서가 출시되면서 Sky Backup이라는 기능을 통해서 이를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Cloud Live에 와서는 이를 진일보시켜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이를 복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이제 더 이상 부러워할 필요 없이 만끽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 클라우드의 허브를 넘보는 Cloud Live 살펴보기
Cloud Live만의 독특한 기능이 한 가지 있습니다. 기본 저장 공간인 라이브디스크와는 별개로 Dropbox와 Box라는 외부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어떻게 하면 자사의 서비스에 안에서 머물도록 혈안이 되어 서비스를 설계하는 경우가 대다수 인데 독특한 접근입니다. 어쨌든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본 16GB의 용량에 Dropbox 2GB와 Box 5GB의 용량이 추가로 주어지기 총 23GB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Dropbox와 Box 계정을 만든 후 Cloud Live에서 접근이 허용되도록 Allow를 해주면 이때부터 이용이 가능합니다.
마무리..
처음 글을 쓰기 위해 Cloud Live를 실행했을 때는 단순히 인터넷에서 흔히 제공하는 스토리지 서비스 정도로 생각했는데 막상 기능을 살펴보다 보니 이제는 없으면 안 되는 필수 서비스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지금과 같이 휴대폰 제조업체라는 강점을 잘 살리는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참고사이트)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cloud/library/cl-cloudservices1iaas/index.html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cloud/library/cl-cloudservices2paas/index.html
http://www.ibm.com/developerworks/cloud/library/cl-cloudservices3saas
http://ko.wikipedia.org/wiki/%ED%81%B4%EB%9D%BC%EC%9A%B0%EB%93%9C_%EC%BB%B4%ED%93%A8%ED%8C%85
http://ko.wikipedia.org/wiki/IaaS
http://ko.wikipedia.org/wiki/PaaS
http://ko.wikipedia.org/wiki/SaaS
* 본 글은 팬택의 중앙연구소 SW5실 DS1팀 박종현 전임연구원이 VEGA를 위해 기고한 글입니다.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cloud/library/cl-cloudservices1iaas/index.html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cloud/library/cl-cloudservices2paas/index.html
http://www.ibm.com/developerworks/cloud/library/cl-cloudservices3saas
http://ko.wikipedia.org/wiki/%ED%81%B4%EB%9D%BC%EC%9A%B0%EB%93%9C_%EC%BB%B4%ED%93%A8%ED%8C%85
http://ko.wikipedia.org/wiki/IaaS
http://ko.wikipedia.org/wiki/PaaS
http://ko.wikipedia.org/wiki/SaaS
* 본 글은 팬택의 중앙연구소 SW5실 DS1팀 박종현 전임연구원이 VEGA를 위해 기고한 글입니다.
'VEGA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울여라! 전화하고 싶은 상대가 보일 것이다! - 베가 레이서2 모션 다이얼 (10) | 2012.05.11 |
---|---|
불규칙한 정사각형 코드에 나를 표현하는 정보를 담다. 나만의 QR 코드 만들기 ‘스마트 코드’ (2) | 2012.05.10 |
“클라우드 라이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6) | 2012.05.10 |
안녕? 베가레이서2 (가장 처음 베가레이서2를 만나다) (11) | 2012.05.09 |
안드로이드 ICS의 신기능, <안드로이드 빔> (2) | 2012.05.07 |
내 스마트폰을 튼튼하게 하는 방법! 셀프 업그레이드! (1) | 2012.04.23 |
트랙백 0개 ,
댓글 6개가 달렸습니다.
Cloud Live,
FLUX UX,
Google,
IT,
PC,
베가 LTE,
베가 LTE EX,
베가 블로그 필진 박종현,
베가 클라우드 라이브,
어플리케이션,
클라우드,
클라우드 라이브,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허브

베가레이서 사용자입니다. 베가레이서는 아직 못사용하는건가요..;;
베가레이서에서도 가능한지 시험중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같은 베가레이서 유저로서 탑재되기를 고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혁신이다.. 100% 리얼 혁신이죠..
구매자 차별.. 이것은 혁신이다..
베가레이서 나온지 1년도 안되었는데.. 차별하나는 혁신적으로 하죠...
5월중에 안되면..
이제 팬택에 진정한 안티가 어떤건지 혁신적으로 보여줄란다..
많이 섭섭 하시겠지만 한달만 더 기다려 주세요~.
기다리신 만큼 깜짝 놀라실겁니다.
베가레이서도 사용할수 있게 해주세요~~~
중간 부분에 베가 LTE 모델된 FLUX... 이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오타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