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스마트폰 이용자 10대 안전수칙
- → 1. 의심스러운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하지 않기
스마트폰용 악성코드는 위, 변조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유포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의심스러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는 자제해 주세요.
2.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 방문하지 않기 의심스럽거나 알려지지 않은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정상 프로그램으로 가장한 악성프로그램이 사용자 몰래 설치될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에는 방문을 자제해 주세요.
3. 발신인이 불명확하거나 의심스러운 메시지 및 메일 삭제하기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와 이메일의 첨부파일 기능은 악성코드 유포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발신인이 불명확하거나 의심스러운 메시지 및 메일은 열어보지 말고 즉시 삭제해 주세요.
4. 비밀번호 설정 기능을 이용하고 정기적으로 비밀번호 변경하기 단말기를 분실 혹은 도난당했을 경우 개인정보 유출 및 악성코드 설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기 비밀번호를 설정해 주세요.
5. 블루투스 기능 등 무선 인터페이스는 사용 시에만 켜놓기 악성코드 감염 가능성을 줄일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막기 위해서는 블루투스 등 무선통신 기능은 사용 시에만 활성화시켜 주세요.
6. 이상증상이 지속될 경우 악성코드 감염여부 확인하기 이상증상 발생 시 스마트폰 매뉴얼에 따라 조치하며 조치 후에도 이상 증상이 지속될 경우 악성코드에 의한 감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백신 프로그램을 통한 단말기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합니다.
7. 다운로드한 파일은 바이러스 유무를 검사한 후 사용하기 스마트폰용 악성프로그램은 특정 프로그램이나 파일에 숨겨져 유포될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 및 파일 다운로드 실행 시 스마트폰용 백신프로그램으로 바이러스 유무 검사 후 사용해 주세요.
8. PC에도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바이러스 검사하기 스마트폰과 PC간 데이터 백업, 복사, 전송 등의 작업수행 과정에서 PC에 숨겨있는 악성코드가 스마트폰으로 옮겨질 수 있으므로 PC에 대한 백신 프로그램 설치 및 정기 점검 필요
9. 스마트폰 플랫폼의 구조를 임의로 변경하지 않기 스마트폰 플랫폼 구조를 변경(예:Jailbreak)하여 사용할 경우, 기본적인 보안기능 등에 영향을 주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구조 변경은 자제해 주세요.
10. 운영체제 및 백신프로그램을 향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기 해커들은 보안 취약점을 이용하고 다양한 공격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사용하시는 운영체제 및 백신 프로그램을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사용해 주세요.
출처 : 머니투데이(신혜선 기자 - 2010년 4월 22일)
시리우스, 이자르, 베가, 미라크, 베가 X, 베가 S, 미라크A, 베가레이서, 베가 X+, 베가 No.5, 베가 LTE, 베가 LTE M, 베가 LTE EX, 베가레이서2, 베가 S5, 베가 R3, 베가 No.6, 베가 IRON
|